공지사항

[HAATZ]하츠 환기 공식인증점 등록 - 아파트 공동주택 오피스텔 병원 환기시스템 설치 문의 환영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0,900회 작성일 21-11-19 15:58

본문

 

하츠_우주시스템.jpg

실내 환기, 얼마나 알고 계세요?

실내의 오염 물질이 실외의 오염 물질보다 폐에 1,000배 이상 잘 전달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실내 환기는 말 그대로,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개선하고 정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실내외의 공기를 바꾸어 주는 것이랍니다.

공기질 관리의 핵심이죠.

일상 생활에서 실내활동이 약 80%이상을 차지하는 현대인들에게 실내 환기는 아주 중요한 개념이랍니다.

이러한 실내 환기를 돕는 장치가 바로 환기 시스템인데요,

환기 시스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볼까요?


환기 시스템의 필요성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공기 오염

01 외부 공기의 오염

2016년 환경성과지수(EPI)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공기질은 세계 180개국 173위라고 하죠. 초미세먼지 노출 정도로 보면 174위라고 합니다.

또한, OECD ‘2016년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BLI)’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29.1㎍/㎥)는

OECD 34개 회원국을 포함한 조사대상국 38개국 중 최하위권인 37위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외부 공기 오염이 심각하다고 해서, 환기 하지 않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방치할 수는 없기 때문에

오염된 외부 공기를 깨끗하게 걸러주어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시스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이죠.

02 실내 공기의 오염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만큼, 환기 시스템을 활용한 적절한 환기가 필수인데요.

그 중,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건축자재 등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등이 실내 공기질 오염의 주범이라고 해요.

전 세계에서 공기오염으로 700만명이 사망하는데, 61%인 430만명이 주방 조리로 인한 미세먼지로 사망한다고 하니, 정말 무시무시하죠?

그 중에서도 음식이 탔을 때,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매우나쁨 수준의 7~29배에 이른다고 하니, 음식을 태우는 것을 지양해야될 뿐만 아니라 태웠을 때는 재빨리 후드 및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새집증후군 및 화학물질과민증을 앓고 있는 세대의 공기는 외부 공기보다 약 7~8배 더 오염되어 있다고 해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포름알데히드(HCHO)가 그 원인인데요.

20년 이상 된 주택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포름알데히드(HCHO)가 검출된다고 하니, 실내 환기를 통해 꾸준히 유해물질을 배출해주는 노력이 필요하겠죠?

03 실내 환경의 주요 오염원에 따른 인체 영향

실, 내외의 공기오염으로 인해 다양한 오염물질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서 우리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까요?

오염 물질

주요 발생원

인체 영향

CO2

사람, 연소기구, 담배

호흡곤란, 두통

CO

연소, 담배

혈액의 산소운반능력 저하

미세먼지

실외 미세먼지 유입, 주방요리, 프린터, 청소기

호흡기 질환 유발 외 눈,코 점막 자극

오존

복사기,FAX

기관지염, 심잘질환, 폐기종, 천식 악화

라돈

건물 지반, 주변 토양, 광석, 상수도

폐암 유발

석면

석면플레이트, 바닥용 타일,

방화용 물질

석면폐, 폐암

포름알데히드

신건축물, 연소

눈, 코, 목 자극

구토, 기침, 호흡곤란

VOCs

건축자재, 마감재

호흡기 자극, 피로, 두통

부유 미생물

가습기, 에어컨, 냉장고, 애완동물,

음식물쓰레기, 카펫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피부병

환기 시스템의 법적 의무화

이렇듯 날이 갈수록 공기 오염이 심각해지다보니, 다양한 법규를 통하여 환기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답니다.

2006년에 환기시스템이 법적 의무화된 이후,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가구에서는 환기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으셨을 텐데요.

어떤 기준일 때 환기 시스템 설치가 의무화 되는지 알아볼까요?

01 환기 시스템 설치 가구 대상 기준

건축법 시행규칙(2013년 12월 27일 시행)에 따르면, 신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및 주택이 100세대 이상의 건축물일 경우 시간당 0.5회 이상의 환기량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시간 당 0.5회 = 2시간에 집안 공기 전체를 1회 환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중이용시설(오피스텔 포함)의 경우에는, 연면적 3,000㎡이상인 경우 인원당 환기량을 적용하여 환기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합니다.

02 환기시스템 관련 법규

구분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건강친화형 주택건설기준

녹색건축 인증기준

근거

건축법 시행규칙

『국토교통부령 제2013-52호』

건축법 시행규칙

『국토교통부령 제2013-52호』

건축법 시행규칙

『국토교통부령 제2013-383호』

대상

공동주택 (100세대 이상)

다중이용시설 (주상복합, 리모델링 포함)

주택법에 의한 500세대 이상

신축 및 리모델링 하는 사업지

공동주택, 업무용건축물,공공기관 발주

연면적 3,000m²이상 건축물

시행

2013. 12. 27

2014. 05. 07

2013. 06. 18

내용

공동주택 환기설치 기준설정

다중이용시설 및 각 시설당 필요

환기량 설정

시간당 0.5회 이상의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 및 풍량 3단제어(강/중/약)

필터 적용 (중량법 80% 이상)

주택성능 등급제 시행

바이패스 기능 및 프리히터 설치

고성능외기청정필터 적용

(비색법 또는 광산란적산법 90% 이상)

대한설비공학회에서 인정하는

전문 TAB회사 진행

녹색건축물은 인증을 위한 환기설비기준

열교환기 평가방법

고성능 외기청정필터 집진효율 90%이상

(비색법 또는 광산란적산법 적용 시),

고효율 기자재 인증기준 이상의

열회수율 확보 가능 여부

하츠 환기시스템, 어떤 것일까요?

이렇듯, 우리 생활에서 중요한 환기시스템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하츠 환기 시스템은 신선한 공기를 넣어주는 급기, 오염된 공기를 빼주는 배기와 동시에 외부의 공기와 실내의 공기의 온도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열교환 소자’를 적용한 ‘전열교환기’가 핵심이 된답니다.

전열교환기는 기계식 환기시스템의 3가지 분류중 ‘1종 환기’에 해당 되죠.

전열교환기 (하츠 환기시스템)

그렇다면, 하츠 ‘전열교환기’

환기 시스템은 어떻게 다를까요?

하츠 환기 시스템의 종류

01 전열교환기(일반형, 바이패스형)

· 일반형 전열교환기

일반형 전열교환기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면서 환기 시스템 내부의 필터를 통해 오염물질을 걸러주고, 내부 공기의 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냉난방 비용을 절감해주는 경제적인 환기 장치 입니다.

· 바이패스형 전열교환기

바이패스형 전열교환기는 일반형 전열교환기에 ‘바이패스’기능이 추가된 것인데요, ‘바이패스’란 봄, 가을 선선한 외부의 공기로 실내 환기를 할 때, 열교환소자를 통하지 않고 환기를 해주는 장치입니다. 열교환소자를 통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이 더 적죠.


02 공기청정형 전열교환기

공기청정형 전열교환기는 바이패스형 전열교환기에 헤파(H13)등급의 필터를 통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

숯 탈취 필터로 냄새까지 제거하는 전열교환기입니다.


03 거주공간별 동시 급, 배기 시스템

고층화, 고기밀화등 효율적인 환기가 필요한 요즘, 급기 없이 배기만 이루어지게 되면 실질적인 환기가 되지 않고 에너지만 소비하는 결과를낳게 된답니다.

하츠 환기 시스템은 실내 공간의 공기를 동시 급,배기하여 어떠한 주거환경에서도 늘 건강하고 상쾌한 실내공기를 제공합니다.


04 고효율, 고정압, 저소음 시스템

하츠 환기시스템은 고효율 팬과 모터를 적용하여 소비전력은 낮고, 정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합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공간에 자유롭게 적용이 가능해서 주거 뿐만 아니라 상업 공간에도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공기청정기와 어떻게 다를까요?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 얼핏보면 비슷한 공기정화장치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원리에서 차이가 있답니다.

가장 큰 차이는, 무엇보다 환기시스템은 외부의 공기를 필터를 통해 깨끗한 공기로 유입해주는 것에 있다는 점이죠 !

구분

공기청정기

전열교환기

설치공간

거실 또는 방

발코니 또는 베란다

청정공간

배치 공간만 청정

세대 전체 청정

풍량

제조사 미공개

100~250CMH

소음

40~60dB

40dB이하

필터

프리필터 숯탈취필터, 헤파필터

프리필터, 미디움필터

소비전력

약 30~100W

약 30~100W

연동

없음

쿡탑+후드+전열교환기 연동 제어

효과

먼지제거

먼지제거, 유해가스 및 냄새배출, 산소 공급, 습도 조절

공간제약

설치공간 점유 및 주변공간 제약

없음

장단점

1. 각 실별 공기청정기 필요

2. 공간제약 있음

3. 소음 큼

4. 유해가스 제거 및 산소공급 못함

5. 풍량 설정 불가

1. 장비 1대로 2시간 이내에 세대 전체 청정

2. 공간제약 없음

3. 소음 적음

4. 유해가스 제거 및 산소 공급

5.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 설정 가능

국내 최초, 국내 유일 AQM(Air Quality Management)시스템

국내 최초, 국내 유일하게 하츠가 선보이는 AQM(Air Quality Management)은 주방의 쿡탑, 레인지 후드, 전열교환기의

세대환기시스템을 통합하여 공기질 관리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줍니다.

하츠 환기시스템, 어떻게 쓰면 될까요?

우리집 환기 시스템, 어디에 있을까요?

환기 시스템, 설치는 되어있는 것 같은데 어디에 있는지 궁금하셨죠?

환기 시스템은 보통 아파트의 실외기실 또는 발코니에 위치해 있습니다.

단, 환기 시스템 제품이 겉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어요.

그럴 때에는 천정에 있는 점검구를 열어야 볼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환기 시스템, 똑똑하게 사용하기

01 환기 시스템 사용방법

- 거실에 위치한 환기 유니트 컨트롤러(리모컨)를 통하여 사용이 가능해요.

- 환기 유니트 컨트롤러(리모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홈네트워크나 다른 컨트롤러에서 사용할 수 있어요.

- 환기 유니트 컨트롤러(리모컨) 또는 홈 네트워크의 사용방법은 입주자 매뉴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02 환기 시스템, 얼마나 틀어야 할까요?

환기 시스템은 법적으로 하루 24시간 사용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필요에 따라 작동 시키는 장치입니다.

특히, 조리 시 레인지 후드와 함께 사용하시면 환기 효과가 더욱 크죠.

여기서 잠깐 ! 환기시스템의 전기세, 궁금하셨죠?

하루 10시간 작동 시, 한달 약 3,020원~9,870원으로 1만원 미만의 전기요금이 발생한답니다.

전기세 걱정은 하지마세요!

03 환기 시스템 필터, 열교환 소자 청소 및 교체하기

구분

필터

열교환소자

권장 청소주기

3개월/1회

6개월/1회

권장 교체주기

6개월/1회

5년/1회

※ 사용 지역의 오염도에 따라 청소 및 교체 주기가 짧아질 수 있습니다.

-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유지보수 소모품에는 환시 시스템 필터(미디엄, 프리필터)와 열교환 소자가 있어요.

- 환기 시스템 필터와 열교환 소자의 청소 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04 환기 시스템, 이것만은 알아두세요 !

- 환기 시스템은 자주 사용할수록 고장이 덜 난답니다.

- 외출 시에는, 자동운전 시스템을 이용해주세요.

- 주방에서 요리할 때, 후드 뿐만 아니라 환기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면 유해물질의 확산을 막는데 더욱 효과적입니다.

05 환기 시스템, 이것이 궁금해요

아파트 공동주택 오피스텔

병원 의원 스터디카페

환기시스템 설치 문의 환영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